모리씨 (와카쓰키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리 씨(森氏)는 가마쿠라 시대 이전부터 존재했던 씨족으로, 겐지 계열의 와카쓰키 씨에서 파생되었다. 헤이지의 난 이후 모리 사부로(훗날 와카쓰키 요리타카)가 치바 씨의 보호를 받으며 성장했고, 요리타카의 차남 모리 요리사다 때 성씨로 확립되었다. 센고쿠 시대에는 모리 요시나리가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모리 나가요시는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활약하다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다. 에도 시대에는 쓰야마번, 아코번을 다스렸으며, 메이지 시대에는 화족으로 자작위를 받았다. 모리 씨는 여러 분가로 나뉘었으며, 주요 인물로는 모리 요시나리, 모리 나가요시, 모리 란마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야마다씨 - 오야마다 도라미쓰
오야마다 도라미쓰는 다케다 신겐을 섬긴 가이 국 오야마다 씨 일족의 무장으로, 시나노 침공 등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병환으로 은거 후 겐이로 개명, 가독을 아들에게 물려주었고 그의 자손들은 사나다 가문의 신하로 마쓰시로번의 가로를 역임했다. - 모리씨 (와카쓰키씨) - 모리 나가나오
모리 나가나오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쓰야마 번주 모리 나가쓰구의 아들이며, 쓰야마 번의 가독 계승 문제로 사이가와라 번 초대 번주가 된 후 아카호 번으로 이봉되어 재정 악화 극복을 위해 노력했고, 사위이자 양자인 모리 나가타카가 그의 뒤를 이었다. - 모리씨 (와카쓰키씨) - 쓰야마번
쓰야마 번은 1603년 모리 다다마사가 개창한 번으로, 쓰야마 성을 축성하고 조카마치 정비를 통해 기초를 다졌으며, 이후 마쓰다이라 가문이 통치하다가 1871년 폐번치현으로 쓰야마 현이 되었다. - 일본의 씨족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 일본의 씨족 - 시마즈씨
시마즈씨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사쓰마, 오스미, 휴가 지역을 다스린 다이묘 가문으로, 미나모토 씨의 후손이며, 규슈 지역을 장악하고 임진왜란에 참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모리씨 (와카쓰키씨) | |
---|---|
개요 | |
성씨 (한자) | 森氏 |
성씨 (가나) | もりし |
로마자 표기 | Mori-shi |
가문 문장 | [[파일:Japanese_crest_Turu_no_maru(White_background).svg|두루미 고리(鶴の丸)]] |
가문 문장 명칭 | 두루미 고리 (鶴の丸) |
본성 | 세이와 겐지요리타카 류 와카쓰키 씨 |
시조 | 모리 요리사다 |
종별 | 무가 화족(자작) |
출신지 | 사가미국아이코군 모우리 장 |
거점 | 미노국 하리마국아코군 |
주요 인물 | 모리 요시나리 모리 나가요시 모리 란마루 |
지류 | 도다씨 세키씨 우에노씨 가사코씨 |
가계 | |
선조 가문 | 미나모토 씨(세이와 겐지) |
유래 | 사가미국아이코군의 모우리 장 |
역사 | |
유래 | 세이와 겐지미나모토노 요리타카의 후손 |
기타 정보 | |
관련 가문 | 모리 씨 (아키의 모리 씨) |
2. 역사
헤이지의 난 이후, 겐지와 헤이시는 조정에서의 대우 차별에 대한 불만으로 갈등이 심화되었다. 미나모토노 요시토모가 후지와라노 노부요리 등과 함께 거병하여 헤이지의 난이 발발했고, 요시토모의 큰 숙부인 무쓰 시치로 요시타카는 겐지 편에 서서 헤이시 군과 싸웠으나 패배하고 히에이 산엔랴쿠지 승병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요시타카의 아들 모리 사부로(훗날의 와카쓰키 요리타카)는 치바 씨 밑에서 성장하여 가마쿠라 막부의 고케닌이 되었다. 요리타카는 호지 전투에서 미우라 편에 섰다가 죽임을 당했다.
요리타카의 차남 모리 요리사다는 가마쿠라에 없었기 때문에 화를 면했다. 요리사다는 이즈노카미에 서임되고 안카몬인의 판관대를 역임하는 등 세력을 구축했다.
모리라는 이름은 조부 요시타카 때부터 칭호로 사용되었지만, 성씨로 확립된 것은 아니었다. 모리 요시히로에서 시작되는 겐 씨 모리씨 등은 요시타카를 가조로 삼고 있어, 순수하게 모리 가문의 초대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미나모토 요리타카 역시 시나노 국미즈나이 군와카츠키 장을 영지로 얻은 후 와카츠키 이즈노카미라고 칭했고, 적류 자손은 와카츠키 씨를 계승했다. 요리타카는 출가 후 "모리 쿠로도 뉴도 사이아"라고 칭했지만, 요리타카 대에도 모리라는 호칭은 일족의 칭호로 사용되지 못했다.
본격적으로 모리 씨라는 일족이 확립된 것은 요리타카의 아들인 요리사다가 초대가 되면서부터이다. 요리사다의 자손인 모리 일족은 후세에 여러 갈래로 나뉘었다. 모리 성씨에서 파생된 지족으로는 코즈케 씨, 카사아이 씨, 토다 씨 등이 있다. 남북조 시대에는 모리 지로자에몬 등이 활약했다.
전국 시대에는 초대 요리사다의 차남 사다우지의 자손, 미노 국에 토착한 일족이 모리 가문 안에서 가장 활약했다. 미노 모리 씨의 성립은 사다우지로부터 6대 요리모로가 토키 씨를 섬긴 것에서 시작한다.
센고쿠 시대 후기 모리 요시나리는 사이토 도산을 섬겼으나, 후에 오다 노부나가를 섬겼다. 1555년 노부나가의 기요스 성주 오다 노부토모 공격에 참여하여 노부토모를 토벌했고, 1558년 우키노 전투에도 참가했지만, 1570년 아사이·아사쿠라 연합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그의 차남 모리 나가요시는 이세 나가시마 잇키 진압, 나가시노 전투, 고슈 정벌 등에서 공을 세워 시나노국카이즈 성 207900석을 받았다. 그의 동생이자 노부나가의 소년 시종이 된 모리 란마루도 미노국 카나야마에 50000석을 받았다. 노부나가와 란마루가 혼노지의 변에서 사망한 후, 나가요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1583년 미노 카나야마 성으로 다시 봉해졌지만, 1584년 코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전사했다.
그의 동생 타다마사에게 형의 영지였던 카나야마 성 70000석의 상속이 허락되었고, 1587년 하시바 성을 허락받았다. 히데요시 사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접근하여 1600년 2월 시나노국 사라시나·미즈나이·하니시나·타카이 4군으로 옮겨져 카와나카지마 성주 137500석이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동군에 속하여 영지를 보전받았다. 1603년 시나노국의 영지를 대신하여 미마사카국을 받아 쓰야마번 186500석으로 증봉되었다.
마지막 아코 번 영주 모리 다다노리(충의)와 마지막 미카즈키 번 영주 모리 나가토시(나가토시)는 메이지 2년(1869년) 6월 판적봉환으로 번지사에 임명되었으며, 메이지 4년(1871년) 폐번치현까지 번지사를 역임했다.
메이지 2년(1869년) 6월 17일 행정관 달에 따라 공가(귀족 가문)와 다이묘(무사 가문) 가문이 통합되어 화족 제도가 만들어지자 양 모리 가문도 다이묘 가문으로서 화족에 포함되었다.[1][2]
폐번치현 시에 정해진 가록(祿, 녹봉)은 다음과 같다.
가문 | 가록 |
---|---|
모리 소가(아코 모리 가문) | 1073섬 |
미카즈키 모리 가문 | 839섬 |
[3]
메이지 9년(1876년) 금록공채(金禄公債) 증서 발행 조례에 따라 가록과 교환하여 지급된 금록공채 액수는 다음과 같다.
메이지 17년(1884년) 7월 7일 화족령 시행으로 화족이 5작(爵) 제도가 되자, 같은 달 8일에 모리 소가의 모리 다다노리(충의)와 미카즈키 모리 가문의 모리 나가요시(나가요시)는 구 소번 지사로서 자작(작위)에 임명되었다.[6]
모리 요시히사(요시히사) 시대의 쇼와 전기 모리 소자작가(모리 소 자작 가문)의 저택은 효고현아코에 있었다.[7] 미카즈키 모리 가문의 모리 도시나리(토시나리)는 도쿄 시의회 의원을 거쳐 귀족원 자작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나카노 정장(町長, 촌장)을 역임했다.[8] 그의 시대에 미카즈키 모리 자작가(미카즈키 모리 자작 가문) 저택은 도쿄 시 나카노구 다카네 정에 있었다.[9]
2. 1. 가마쿠라 시대 이전
호겐의 난 이후, 겐지와 헤이시는 조정에서의 대우 차별에 대한 불만으로 갈등이 심화되었다. 미나모토노 요시토모가 후지와라노 노부요리 등과 함께 거병하여 헤이지의 난이 발발했고, 요시토모의 큰 숙부인 무쓰 시치로 요시타카는 겐지 편에 서서 헤이시 군과 싸웠다. 그러나 겐지 군이 타이라노 키요모리에게 패하고 요시타카는 재기를 도모하며 도망쳤지만, 헤이씨에게 협력한 히에이 산엔랴쿠지의 승병에 의해 오미 국류게고시 부근에서 죽임을 당했다.(자세한 내용은 요시타카 항목 참조).2. 2. 모리 씨의 성립
헤이지의 난 이후, 겐지와 헤이시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겐지의 맹주인 미나모토노 요시토모가 후지와라노 노부요리 등과 함께 거병하여 헤이지의 난이 발발했다. 요시토모의 큰 숙부인 무쓰 시치로 요시타카는 겐지 편에 서서 헤이시 군과 싸웠으나 패배하고, 히에이 산엔랴쿠지 승병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요시타카의 갓 태어난 아들인 모리 사부로(훗날의 와카쓰키 요리타카)는 치바 씨 밑에서 성장하여 가마쿠라 막부의 고케닌이 되었다. 요리타카는 호지 전투에서 미우라 편에 섰다가 죽임을 당했다.
호지 전투에서 일족이 멸망하는 불운을 겪었지만, 요리타카의 차남 모리 요리사다는 가마쿠라에 없었기 때문에 화를 면했다. 요리사다는 이즈노카미에 서임되고 안카몬인의 판관대를 역임하는 등 세력을 구축했다.
모리라는 이름은 조부 요시타카 때부터 칭호로 사용되었지만, 성씨로 확립된 것은 아니었다. 모리 요시히로에서 시작되는 겐 씨 모리씨 등은 요시타카를 가조로 삼고 있어, 순수하게 모리 가문의 초대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미나모토 요리타카 역시 젊은 시절 모리 간자 등으로 칭했지만, 시나노 국미즈나이 군와카츠키 장을 영지로 얻은 후 와카츠키 이즈노카미라고 칭했고, 적류 자손은 와카츠키 씨를 계승했다. 요리타카는 출가 후 "모리 쿠로도 뉴도 사이아"라고 칭했지만, 요리타카 대에도 모리라는 호칭은 일족의 칭호로 사용되지 못했다.
본격적으로 모리 씨라는 일족이 확립된 것은 요리타카의 아들인 요리사다가 초대가 되면서부터이다. 요시타카, 요리타카는 모리 가문의 원조로 삼고, 요리사다를 가조로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요리사다의 자손인 모리 일족은 후세에 여러 갈래로 나뉘었다. 모리 성씨에서 파생된 지족으로는 코즈케 씨, 카사아이 씨, 토다 씨 등이 있다. 남북조 시대에는 모리 지로자에몬 등이 활약했다.
전국 시대에는 초대 요리사다의 차남 사다우지의 자손, 미노 국에 토착한 일족이 모리 가문 안에서 가장 활약했다. 미노 모리 씨의 성립은 사다우지로부터 6대 요리모로가 토키 씨를 섬긴 것에서 시작한다.
2. 3. 센고쿠 시대
센고쿠 시대 후기 모리 요시나리는 사이토 도산을 섬겼으나, 후에 오다 노부나가를 섬겼다. 1555년 노부나가의 기요스 성주 오다 노부토모 공격에 참여하여 노부토모를 토벌했고, 1558년 우키노 전투에도 참가했지만, 1570년 아사이·아사쿠라 연합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그의 차남 모리 나가요시는 이세 나가시마 잇키 진압, 나가시노 전투, 고슈 정벌 등에서 공을 세워 시나노국카이즈 성 207900석을 받았다. 그의 동생이자 노부나가의 소년 시종이 된 모리 란마루도 미노국 카나야마에 50000석을 받았다. 노부나가와 란마루가 혼노지의 변에서 사망한 후, 나가요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1583년 미노 카나야마 성으로 다시 봉해졌지만, 1584년 코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전사했다.
그의 동생 타다마사에게 형의 영지였던 카나야마 성 70000석의 상속이 허락되었고, 1587년 하시바 성을 허락받았다. 히데요시 사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접근하여 1600년 2월 시나노국 사라시나·미즈나이·하니시나·타카이 4군으로 옮겨져 카와나카지마 성주 137500석이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동군에 속하여 영지를 보전받았다. 1603년 시나노국의 영지를 대신하여 미마사카국을 받아 쓰야마번 186500석으로 증봉되었다.
2. 4. 에도 시대
마지막 아코 번 영주 모리 다다노리(충의)와 마지막 미카즈키 번 영주 모리 나가토시(나가토시)는 모두 메이지 2년(1869년) 6월 판적봉환으로 번지사에 임명되었으며, 메이지 4년(1871년) 폐번치현까지 역임했다.메이지 2년(1869년) 6월 17일 행정관 달에 따라 공가와 다이묘 가문이 통합되어 화족 제도가 탄생하자 양 모리 가문도 다이묘 가문으로 화족에 포함되었다.[1][2]
폐번치현 시에 정해진 가록은 모리 소가(아코 모리 가문)가 1073섬, 미카즈키 모리 가문이 839섬이었다.[3] 메이지 9년 금록공채 증서 발행 조례에 의거하여 가록과 교환으로 지급된 금록공채의 액수는 다음과 같다.
메이지 17년(1884년) 7월 7일 화족령 시행으로 화족이 5작제가 되자, 같은 달 8일에 모리 소가의 모리 다다노리(충의)와 미카즈키 모리 가문의 모리 나가요시(나가요시)는 구 소번 지사로서 자작이 되었다.[6]
모리 요시히사(요시히사) 시대의 쇼와 전기 모리 소자작가의 저택은 효고현아코에 있었다.[7] 미카즈키 모리 가문의 모리 도시나리(토시나리)는 도쿄 시의회 의원을 거쳐 귀족원 자작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또한 나카노 정장을 역임했다.[8] 그의 시대에 미카즈키 모리 자작가 저택은 도쿄 시 나카노구 다카네정에 있었다.[8]
2. 5. 메이지 시대 이후
마지막 아코 번 영주 모리 다다노리(충의)와 마지막 미카즈키 번 영주 모리 나가토시(나가토시)는 메이지 2년(1869년) 6월 판적봉환으로 번지사에 임명되었으며, 메이지 4년(1871년) 폐번치현까지 번지사를 역임했다.메이지 2년(1869년) 6월 17일 행정관 달에 따라 공가(귀족 가문)와 다이묘(무사 가문) 가문이 통합되어 화족 제도가 만들어지자 양 모리 가문도 다이묘 가문으로서 화족에 포함되었다.[1][2]
폐번치현 시에 정해진 가록(祿, 녹봉)은 다음과 같다.
가문 | 가록 |
---|---|
모리 소가(아코 모리 가문) | 1073섬 |
미카즈키 모리 가문 | 839섬 |
[3]
메이지 9년(1876년) 금록공채(金禄公債) 증서 발행 조례에 따라 가록과 교환하여 지급된 금록공채 액수는 다음과 같다.
와카쓰키씨에서 이어지는 모리씨의 역대 당주 목록은 다음과 같다.
메이지 17년(1884년) 7월 7일 화족령 시행으로 화족이 5작(爵) 제도가 되자, 같은 달 8일에 모리 소가의 모리 다다노리(충의)와 미카즈키 모리 가문의 모리 나가요시(나가요시)는 구 소번 지사[6]로서 자작(작위)에 임명되었다.[7]
모리 요시히사(요시히사) 시대의 쇼와 전기 모리 소자작가(모리 소 자작 가문)의 저택은 효고현아코에 있었다.[8] 미카즈키 모리 가문의 모리 도시나리(토시나리)는 도쿄 시의회 의원을 거쳐 귀족원 자작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나카노 정장(町長, 촌장)을 역임했다.[9] 그의 시대에 미카즈키 모리 자작가(미카즈키 모리 자작 가문) 저택은 도쿄 시 나카노구 다카네 정에 있었다.[9]
3. 주요 인물
이름 출생 사망 비고 모리 요시나리 1523년 1570년 모리 요시타카 1552년 1570년 모리 나가요시 1558년 1584년 모리 란마루 1565년 1582년 모리 보마루 1566년 1582년 모리 리키마루 1567년 1582년 모리 타다마사 1570년 1634년 쓰야마 번
4. 역대 당주
4. 1. 종가
메이지 2년(1869년) 6월 17일 행정관 통지에 따라 공가와 다이묘 가문이 통합되어 화족 제도가 탄생하자, 모리 종가(아코 모리 가문)와 미카즈키 모리 가문도 다이묘 가문으로서 화족에 포함되었다.[1][2] 폐번치현 당시 정해진 가록은 모리 종가가 1073섬, 미카즈키 모리 가문이 839섬이었다.[3]
메이지 9년(1879년) 금록공채 증서 발행 조례에 의거하여 가록과 교환으로 지급된 금록공채 액수는 다음과 같다.
메이지 17년(1884년) 7월 7일 화족령 시행으로 화족이 5작제로 되자, 같은 달 8일에 모리 종가의 모리 다다노리(충의)와 미카즈키 모리 가문의 나가요시는 구 소번 지사로서 자작 작위를 받았다.[6]
요시히사 시대의 쇼와 전기 모리 종가 자작가는 효고현아코에 저택이 있었다.[7] 미카즈키 모리 가문의 토시나리는 도쿄 시의회 의원을 거쳐 귀족원 자작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나카노 정장을 역임했다.[8] 그의 시대에 미카즈키 모리 자작가 저택은 도쿄 시 나카노구 다카네정에 있었다.[8]
4. 2. 미카즈키 모리 가(三日月森家)
마지막 아코 번 영주 모리 다다노리(忠義)와 마지막 미카즈키 번 영주 모리 나가토시(長俊)는 모두 메이지 2년(1869년) 6월 판적봉환으로 번지사에 임명되었으며, 메이지 4년(1871년) 폐번치현까지 역임했다.[1]메이지 2년(1869년) 6월 17일 행정관 달에 따라 공가와 다이묘 가문이 통합되어 화족 제도가 탄생하자 양 모리 가문도 다이묘 가문으로 화족에 포함되었다.[2][3]
폐번치현 시에 정해진 가록은 모리 소가(아코 모리 가문)가 1073섬, 미카즈키 모리 가문이 839섬이었다.[4] 메이지 9년의 금록공채 증서 발행 조례에 의거하여 가록과 교환으로 지급된 금록공채의 액수는, 모리 소가는 38142.51JPY(화족 수급자 중 147위)[5], 미카즈키 모리 가는 30889.546JPY(화족 수급자 중 167위)였다.[6]
메이지 17년(1884년) 7월 7일 화족령 시행으로 화족이 5작제로 되자, 같은 달 8일에 모리 소가의 모리 다다노리(忠義)와 미카즈키 모리 가문의 모리 나가요시(長祥)는 구 소번 지사로서 자작에 임명되었다.[7]
모리 요시히사(義 விச) 시대의 쇼와 전기 모리 소자작가의 저택은 효고현아코에 있었다.[8] 미카즈키 모리 가문의 모리 도시나리(利敬)는 도쿄 시의회 의원을 거쳐 귀족원 자작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또한 나카노 정장을 역임했다.[9] 그의 시대에 미카즈키 모리 자작가 저택은 도쿄 시 나카노구 다카네정에 있었다.[9]
이름 | 비고 |
---|---|
모리 나가토시(長俊) | (종5위, 쓰시마노카미) 미사카 쓰야마 번주 모리 나가쓰구의 다섯째 아들. |
모리 나가노리(長則) | (종5위, 아키노카미) 모리 나가토시(長俊)의 적자. |
모리 도시하루(俊晴) | (종5위, 쓰시마노카미) 모리 나가노리(長則)의 다섯째 아들. |
모리 도시쓰구(俊次) | (종5위, 쓰시마노카미) 모리 도시하루(俊晴)의 적자. |
모리 하야아쓰(甫敦) | (종5위, 탄바노카미 아키히로시마번주 아사노 시게아키라의 차남. |
모리 나가요시(長義) | (종5위, 가와치노카미) 빗추신미번주 세키 나가마코토의 차남. |
모리 나가아쓰(長篤) | (종5위, 쓰시마노카미) 하리마 아코 번주 모리 다다마사의 다섯째 아들. |
모리 나가쿠니(長訓) | (종5위, 사도노카미) 모리 나가요시(長義)의 적자. |
모리 도시시게(俊茂) | (종5위, 이즈노카미) 모리 나가쿠니(長訓)의 차남. |
모리 나가사치(長祥) | (자작) 모리 도시시게(俊茂)의 장남. |
모리 도시나리(利敬) | (자작) 세키 히로나오 (모리 나가요시(長義)의 외손자, 모리 도시시게(俊茂)의 사촌)의 아들. |
모리 도시유키(利恭) | 모리 도시나리(利敬)의 장남 모리 도시모리(利)의 장남. (모리 도시나리(利敬)의 적손) |
5. 계보
이름 | 비고 |
---|---|
모리 요리사다 | 정5위하 안가문원 판관대 이즈노카미. 와카쓰키 요리타카의 차남. 모리 씨의 조상. |
모리 사다우지 | 요리사다의 차남. |
모리 요리우지 | 사다우지의 적남. |
모리 미쓰우지 | 요리우지의 삼남. |
모리 우지키요 | 이즈노카미. 미노 모리 씨의 조상. |
모리 요리토시 | 사콘노다이부 |
모리 요리모로 | 사쿄노스케 |
모리 요리나가 | 법명 소카쿠 |
모리 요리쓰구 | 사에몬노조라고도 한다. 법명 소산 |
모리 요시미쓰 | 법명 소세이 |
모리 요시후사 | 에치고노카미 |
모리 요시히데 | 에치고노카미 |
모리 요시유키 | 에치고노카미 |
모리 요시나리 | 미노국가나야마성 성주. |
모리 나가요시 | 무사시노카미 겸 지주. 2대 가나야마성 성주. 시나노국 4군을 하사받았다. |
모리 다다마사 | 사콘노추장 지주. 도요토미 히데나가의 사위. 하시바 성을 하사받음. 초대 미마사카쓰야마번 번주. 모리 요시나리의 여섯째 아들. 형 나가요시의 뒤를 이음. |
모리 나가쓰구 | 다이 나이키. 쓰야마번 2대 번주. 모리 씨 가신 세키 나리쓰구의 장남, 모리 다다마사의 외손. |
모리 나가타케 | 호키노카미. 나가쓰구의 차남. 3대 번주. |
모리 나가나리 | 미마사카노카미 지주. 나가쓰구의 적손. 아버지 모리 다다쓰구가 요절했기 때문에, 숙부의 사망 후 가독을 상속. 4대 번주. 모리 나가쓰구의 적남 모리 다다쓰구의 적남. |
모리 아쓰토시 | 한 번, 가신 세키 씨를 잇지만 번주가 된다. 난심으로 개역. 5대 번주. 모리 나가쓰구의 24남. 세키 씨를 계승한 후, 가독. |
모리 나가쓰구 | 은거였지만, 어가가 단절된 곳에서, 나가쓰구 생존을 위해, 특별히 가독 재승이 허가된다. 초대 하리마아코번 번주가 되다. |
모리 나가나오 | 이즈미노카미. 나가쓰구의 23남. 아코번 2대 번주. |
모리 나가타카 | 시마노카미. 아코번 3대 번주. 족신 모리 아야메 산다카 (모리 요시나리 증손)의 아들. |
모리 나가나리 | 엣추노카미. 아코번 4대 번주. 친척, 모리 씨 가로 가카미 이오리 도시나오의 아들. |
모리 마사후사 | 이세노카미. 아코번 5대 번주. 친척, 모리 씨 가로 가카미 이오리 도시나오의 아들. |
모리 다다히로 | 이즈미노카미. 족신 모리 후덴 마사노리의 아들. |
모리 타다오키 | 야마시로노카미. 다다히로의 적남. |
모리 타다스케 | 다이 나이키. 다다히로의 삼남. |
모리 타다아키라 | 이즈미노카미. 다다스케의 적남. |
모리 타다타카 | 히고노카미. 다다스케의 삼남. |
모리 타다노리 | 엣추노카미. 타다타카의 사남. |
모리 타다쓰네 | 미마사카노카미. 타다노리의 차남. |
모리 타다노리 | 에치고노카미, 자작. 타다노리의 삼남. |
모리 타다야스 | 자작. 타다노리의 장남. |
모리 요시히사 | 자작. 타다야스의 사위. |
모리 요시노부 | 요시히사의 차남. |
모리 나가토시 | 쓰시마노카미). 미사카 츠야마 번주 모리 나가쓰구의 다섯째 아들. |
모리 나가노리 | 아키노카미. 나가토시의 적자. |
모리 토시하루 | 쓰시마노카미. 나가노리의 다섯째 아들. |
모리 토시쓰구 | 쓰시마노카미. 토시하루의 적자. |
모리 하야아쓰 | 탄바노카미 아키히로시마번주 아사노 시게아키라의 차남. |
모리 나가요시 | 가와치노카미. 빗추신미번주 세키 나가마코토의 차남. |
모리 나가아쓰 | 쓰시마노카미. 하리마 아코 번주 모리 타다마사의 다섯째 아들. |
모리 나가쿠니 | 사도노카미. 나가요시의 적자. |
모리 토시시게 | 이즈노카미. 나가쿠니의 차남. |
모리 나가사치 | 자작. 토시시게의 장남. |
모리 토시나리 | 자작. 세키 히로나오 (나가요시의 외손자, 토시시게의 사촌)의 아들. |
모리 토시유키 | 토시나리의 장남 모리 토시모리의 장남. (토시나리의 적손) |
6. 기타 서가
이름 | 비고 |
---|---|
모리 요리사다 | 정5위하 안가문원 판관대 이즈노카미. 와카쓰키 요리타카의 차남. 모리 씨의 조상. |
모리 사다우지 | 요리사다의 차남. |
모리 요리우지 | 사다우지의 적남. |
모리 미쓰우지 | 요리우지의 삼남. |
모리 우지키요 | 미노 모리 씨의 조상. |
모리 요리토시 | |
모리 요리모로 | |
모리 요리나가 | 법명: 소카쿠 |
모리 요리쓰구 | 사에몬노조라고도 한다. 법명: 소산 |
모리 요시미쓰 | 법명: 소세이 |
모리 요시후사 | 에치고노카미 |
모리 요시히데 | 에치고노카미 |
모리 요시유키 | 에치고노카미 |
모리 요시나리 | 초대 미노국가나야마성 성주. |
모리 나가요시 | 종5위하 무사시노카미 겸 지주. 2대 가나야마성 성주. 시나노국 4군을 하사받다. |
모리 다다마사 | 종4위하, 사콘노추장 지주. 도요토미 히데나가의 사위. 하시바 성을 하사받음. 초대 미마사카쓰야마번 번주. 모리 요시나리의 여섯째 아들. 형 나가요시의 뒤를 잇다. |
모리 나가쓰구 | 다이 나이키. 쓰야마번 2대 번주. 모리 씨 가신 세키 나리쓰구의 장남, 모리 다다마사의 외손. |
모리 나가타케 | 호키노카미. 나가쓰구의 차남. 3대 번주. |
모리 나가나리 | 미마사카노카미 지주. 나가쓰구의 적손. 아버지 모리 다다쓰구가 요절했기 때문에, 숙부의 사망 후 가독을 상속. 4대 번주. |
모리 아쓰토시 | 한 번, 가신 세키 씨를 잇지만 번주가 된다. 난심으로 개역. 5대 번주. 나가쓰구의 24남. 세키 씨를 계승한 후, 가독. |
모리 나가쓰구 | 은거였지만, 어가가 단절된 곳에서, 나가쓰구 생존을 위해, 특별히 가독 재승이 허가된다. 초대 하리마아코번 번주가 되다. |
모리 나가나오 | 이즈미노카미. 나가쓰구의 23남. 아코번 2대 번주. |
모리 나가타카 | 시마노카미. 아코번 3대 번주. 족신 모리 아야메 산다카 (모리 요시나리 증손)의 아들. |
모리 나가나리 | 엣추노카미. 아코번 4대 번주. 친척, 모리 씨 가로 가카미 이오리 도시나오의 아들. |
모리 마사후사 | 이세노카미. 아코번 5대 번주. 친척, 모리 씨 가로 가카미 이오리 도시나오의 아들. |
모리 다다히로 | 이즈미노카미. 족신 모리 후덴 마사노리의 아들. |
모리 타다오키 | 야마시로노카미. 다다히로의 적남. |
모리 타다스케 | 다이 나이키. 다다히로의 삼남. |
모리 타다아키라 | 이즈미노카미. 다다스케의 적남. |
모리 타다타카 | 히고노카미. 다다스케의 삼남. |
모리 타다노리 | 엣추노카미. 타다타카의 사남. |
모리 타다쓰네 | 미마사카노카미. 타다노리의 차남. |
모리 타다노리 | 에치고노카미, 자작. 타다노리의 삼남. |
모리 타다야스 | 자작. 타다노리의 장남. |
모리 요시히사 | 자작. 타다야스의 사위. |
모리 요시노부 | 요시히사의 차남. |
모리 나가토시 | 쓰시마노카미. 미사카 츠야마 번주 모리 나가쓰구의 다섯째 아들. |
모리 나가노리 | 아키노카미. 나가토시의 적자. |
모리 토시하루 | 쓰시마노카미. 나가노리의 다섯째 아들. |
모리 토시쓰구 | 쓰시마노카미. 토시하루의 적자. |
모리 하야아쓰 | 탄바노카미. 아키히로시마번주 아사노 시게아키라의 차남. |
모리 나가요시 | 가와치노카미. 빗추신미번주 세키 나가마코토의 차남. |
모리 나가아쓰 | 쓰시마노카미. 하리마 아코 번주 모리 타다마사의 다섯째 아들. |
모리 나가쿠니 | 사도노카미. 나가요시의 적자. |
모리 토시시게 | 이즈노카미. 나가쿠니의 차남. |
모리 나가사치 | 자작. 토시시게의 장남. |
모리 토시나리 | 자작. 세키 히로나오 (나가요시의 외손자, 토시시게의 사촌)의 아들. |
모리 토시유키 | 토시나리의 장남 모리 토시모리의 장남. (토시나리의 적손) |
참조
[1]
웹사이트
Mori Ranmaru and Wakashudō
https://thesengokuar[...]
2022-06-23
[2]
문서
戸田氏#美濃森氏流戸田氏を参照。
[3]
문서
母方の祖父・森忠政の養子。
[4]
문서
森三隆の三男。
[5]
문서
各務利直の長男。
[6]
문서
森俊韶の妹で、俊韶の養女となる。
[7]
문서
各務利直の六男。
[8]
문서
各務利直の七男。('''森可政系図伝'''では、各務利直の七男と記されているが、江戸時代に編纂された、『寛政重修諸家譜』では、森正典の長男となっている。)
[9]
문서
弟に森可度|可度、森可重|可重
[10]
문서
実父は万里小路博房。
[11]
문서
名古屋山三郎の養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